본문 바로가기

Food Import

Types and Durations of Import Inspections / Recognition for Import Declaration Record Many people seem curious about the types and durations of import inspections, as well as the scope of recognition for import declaration record. I'm sharing domestic regulations for your reference.1. Types and Durations of Food and Drug Safety Administration (FDA) Import InspectionsPrecision Inspection: Conducted for the first import of a new product as per FDA regulations (Inspection duration: .. 더보기
수입 검사 종류 및 검사 기간 / 수입신고 실적 인정 범위 수입시, 수입검사 종류 및 검사 기간 그리고 수입신고 실적 인정 범위에 대해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 것 같아서 국내 규정을 공유드리니 참고하세요.1. 식약처 수입검사 종류 및 검사 기간정밀검사 : 신제품 최초 수입시 식약처가 정한 검사를 진행함(검사 기간 : 10일)무작위 표본검사 : 최초 수입 이후, 식약처가 국내외 식품안전 관련 위해요소에 대해 인지하는 경우와 연간 계획에 따른 일정비율로 무작위 검사 진행함 (검사 기간 : 5일)현장검사 (관능검사) : 최초 및 최초 수입 이후, 식약처가 필요하다가 할 경우 진행함 (검사 기간 : 3일)서류검사 : 최초 및 최초 수입 이후, 수입신고 실적이 인정 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서류검사 대상이 됨 (검사 기간 : 2일)지시검사 : 식약처장이 특정 기간에 한해 특정.. 더보기
Procedures for Registration and Renewal of Overseas Manufacturing Facilities Procedures for Registration and Renewal of Overseas Manufacturing FacilitiesLegal Matters:In accordance with Article 5 (Registration of Overseas Manufacturing Facilities) of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Imported Food," anyone who intends to import food into the country or install or operate overseas manufacturing facilities must register the overseas manufacturing facilities with.. 더보기
해외제조업소 등록 및 갱신 절차 해외제조업소 등록 및 갱신 절차법적 사항:「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제5조(해외제조업소 등록)에 따라 국내로 수입식품 등을 수입하려는 자 또는 해외제조업소의 설치·운영자는 수입신고 전까지 해외제조업소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등록하여야 합니다.근거법령: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제5조 제1항, 제2항, 제6항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규칙 제2조 제1항, 제3항, 제4항제도를 담당하는 기관:식품의약품안전처 현지실사과: 043-719-6219식품안전정보원 수입식품 시스템 상담센터: 1811-64961. 해외제조업소 등록 신청1) 신청자:(수출국) 해외제조업소 설치, 운영자 또는 (국내) 수입자가 신청 가능합니다.2) 신청 방법:우편 또는 온라인으로 수입식품정보마루(https://impfood.mfds.go.kr.. 더보기
Import Declaration and Imported Food Inspection Procedures To import food into Korea from overseas, you need to follow these steps:All imported foods must first be declared to Korea Customs Service (KCS), which then requires the importers to obtain clearance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In other words, the import declaration process with MFDS must be completed and the approved import declaration certificate from MFDS must be submitt.. 더보기
수입신고 및 수입식품검사 절차 해외에서 한국으로 식품이 수입되려면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을 해야 합니다.모든 수입되는 식품은 먼저 관세청에 신고를 하여야 하며, 관세청은 식약처에 요건을 받아 오라고 합니다. 즉, 식약처 수입신고 절차를 정상적으로 마쳐서 식약처의 승인된 수입신고필증을 관세청에 제출해야 최종적으로 보세구역에서 반입된 식품들이 반출되어 시장에서 판매될 수 있습니다. 1. 사전 준비 : 수입하고자 하는 식품의 품목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조사하고 품목에 따른 관련 법규를 숙지해야 합니다.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유형, 제품의 기준 및 규격, 원료 적합성, 성분배합비 적합성, 식품표시 적합성, 수입식품 신고 절차, 수입판매업 영업자 준수사항 등2. 서류 준비 : 성분배합비 (포뮬러), 제조공정도, 라벨가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필.. 더보기
Imported Food Safety Management Act Imported Food Safety Management Act (abbreviated as IFSMA) [Enforcement on June 14, 2024] [Law No. 19471, Partial Amendment on June 13, 2023]Purpose: This Act aims to ensure the safety of imported foods, promote quality improvement, and contribute to maintaining a healthy trading order and enhancing public health by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History: The Imported Food Safety Management Act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