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FF Code 썸네일형 리스트형 Composition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de - Part II Next, let's look at Chapter 3, Individual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rom here on, there will be many important considerations to keep in mind when importing or manufacturing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domestically. First, health functional foods are broadly divided into notified products and individually recognized products.Notified products: These refer to items listed in the Health Fu.. 더보기 Composition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de - Part I Th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re referred to as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dex.' Additionally, health functional foods are also known as 'Geongisiks' for short. The most recent revision (Notification No. 2024-16, revised on March 20, 2024)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dex was issu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The updated regulations can .. 더보기 건강기능식품 공전 구성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 파트 II 이어서 제3. 개별 기준 및 규격 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부터는 실제 건강기능식품 완제품을 수입하거나 국내에서 제조를 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사항들이 많이 나오니 잘 보시길 바랍니다. 첫째, 건강기능식품은 크게 고시형 제품과 개별인정형 제품으로 나뉘게 됩니다. 고시형 제품 : 건강기능식품 공전 상에 나와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양소 제품들 (비타민, 무기질 등)과 기능성 제품들 (글루코사민, 오메가-3 등)을 말합니다. 참고로 건강기능식품 공전에는 허용되는 제품들을 나열해 놓았습니다. 즉, Positive List System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개별인정형 제품 :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등재 되지 않은 제품들로서 영업자가 별도로 시간과 노력 (비용 및 연구)을 들여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개별.. 더보기 건강기능식품 공전 구성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 파트 I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을 "건강기능식품 공전"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줄여서 건기식이라고도 부르니 참고하세요. 이 글을 작성하는 가장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약칭 "식약처")의 고시 제2024=16 (2024.03.20., 개정)이 최근 건강기능식품 공전입니다. 해당 규정은 식약처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습니다. https://mfds.go.kr/brd/m_211/view.do?seq=14822&srchFr=&srchTo=&srchWord=%EA%B1%B4%EA%B0%95%EA%B8%B0%EB%8A%A5%EC%8B%9D%ED%92%88&srchTp=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Data_stts_gubun=C9999&pag.. 더보기 Individually Approved Health Functional Foods 1. Definition of Individually Approved Health Functional FoodsIndividually approved health functional foods are those for which a manufacturer has provided 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and has received individual approval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in South Korea for their efficacy and safety. This definition is based on the "Health Functional Food Act" and its enforcemen.. 더보기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정의와 법적 근거1.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정의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은 제조사가 특정 제품에 대하여 충분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별적으로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을 말합니다. 이 정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개별적인 심사를 통해 인정받은 제품만이 기능성 표시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해당 제품의 효능과 효과를 명확하게 전달합니다.2. 법적 근거 및 역사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1999년)근거: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정.내용: 건강기능식품의 정의와 관리에 대한 법적 근거가 최초로 마련되었습니다. 이 법안은 건강기능식품의 품질 및 안전성을 보장하고, .. 더보기 건강기능식품공전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4-16호, 2024.03.20] 목적 : 1) 이 고시는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가공, 생산, 수입, 유통 및 보존 등에 관한 기준 및 규격을 정하기 위한 것이다. 2)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원료와 제품의 기준 및 규격을 정함으로써 표준화된 건강기능식품의 유통을 도모하고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고자 한다. 3) 또한 관계 공무원에게 건강기능식품의 관리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여 국내 건강기능식품 관리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2. 주요 내용 : 1) 정의 및 분류: (1) 건강기능식품의 정의와 분류 기준을 설명합니다. .. 더보기 HFF (Health Functional Foods) Cod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MFDS Notice No. 2024-16, March 20, 2024]Purpose:This notice establishes th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the manufacture, processing, production, import, distribution, and preserv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tended for sale.By setting th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ingredients and products used in health functional foods,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