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통기한

수입 식품 라벨 상 소비기한이 지워지거나 표시되지 않은 경우 [Regulatory Case Study] 수입 식품 라벨 상 소비기한이 지워지거나 표시되지 않은 경우사례 설명한 편의점 또는 마트에서 판매 중인 수입 식품의 라벨이 손상되어 소비기한이 지워지거나 표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입자, 영업자(편의점 또는 마트), 소비자는 어떻게 판단하고 대처해야 할까요?관련 법규한국 식품 규정에 따르면, 소비기한은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정보로 신선도와 안전성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식품위생법 [시행 2024.5.14] [법률제20307호, 2024.2.13 일부개정] 제44조(영업자 등의 준수사항) 3: 소비기한이 경과된 제품ㆍ식품 또는 그 원재료를 제조ㆍ가공ㆍ조리ㆍ판매의 목적으로 소분ㆍ운반ㆍ진열ㆍ보관하거나 이를 판매 또는 식품의 제조ㆍ가공ㆍ조.. 더보기
한국 소비기한 도입 배경 및 연혁 정리 (유통기한 vs 소비기한) 배경 및 기존 연혁한국에서는 소비기한 도입 이전에 '유통기한'과 '품질유지기한'을 사용해왔습니다. 이 두 가지 용어는 소비자에게 식품이 안전하게 소비될 수 있는 기간을 안내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유통기한 (Use-by Date):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을 의미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나면 식품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근거: (1985.03.30) 및 (2020.06.01).품질유지기한 (Best Before Date): 해당 기한까지는 식품의 맛, 냄새, 색깔 등 품질이 최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합니다.근거: (2000.09.15).연혁:1985년: 유통기한 표시 의무화 시작 ( 제10호, 1985.03.30).2000년: 품질유지기한 개념..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