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Food Regulation Summary

한국 건강기능식품 규제의 역사와 발전 주요 연도별 정리

1. 건강기능식품 제도의 도입 (2002년)

  • 2002년
    • 배경: 국내외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체계적인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 주요 내용:
      • 건강기능식품의 정의와 기능성 개념을 법적으로 명확히 함.
      • 제조, 유통, 판매 과정의 규제를 설정.
      •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를 중심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마련.
  • 2003년
    • 구체적 조치: 건강기능식품의 품질 관리 기준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 법적 기반 마련: 관련 법규 및 규정 세부화 작업 시작.

2. 2004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정

  • 2004년
    • 주요 내용:
      • 건강기능식품의 정의, 기준과 규격 설정.
      • 허가 및 신고 절차 마련, 기능성 원료에 대한 안전성 평가 기준 마련.
      • 제품 라벨링과 광고에 대한 규정 도입.
  • 2005년
    • 시행세칙 도입: 건강기능식품 관련 세부 시행세칙 및 가이드라인 제정.
    • 홍보 캠페인 시작: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한 대국민 홍보 캠페인 전개.

3. 제도 개선 및 강화 (2007년)

  • 2007년
    • 주요 내용:
      • 허위 과대광고 근절을 위해 강력한 법적 제재 도입.
      • 기능성 표시 기준 강화, 과학적 근거 제시 의무화.
      • 위해 제품 리콜 제도 마련 및 위반 업체 처벌 강화.
  • 2008년
    • 광고 모니터링: 광고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허위 및 과대 광고 조사 및 제재.
    • 소비자 보호: 소비자 신고 시스템 개선 및 활성화.
  • 2009년
    • 정기 검사 확대: 주기적인 제품 품질 검사 확대, 제조업체의 자율적 품질 관리 강화.

4. 기능성 원료의 인정 및 안전성 평가 (2012년)

  • 2012년
    • 주요 내용:
      • 기능성 원료 인정 절차 강화, 신규 원료 과학적 검증 절차 강화.
      • 기능성 원료 및 제품에 대한 국제적 수준의 안전성 검증 기준 상향 설정.
      • GMP(우수 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 도입.
  • 2013년
    • 국내외 기준 조화: 국제 기준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정책 마련.
    • 인증 시스템 개선: 기능성 원료 인증 시스템 개선, 신뢰성 확보.
  • 2014년
    • 연구개발 지원: 신규 기능성 원료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5. 2016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개정

  • 2016년
    • 주요 내용:
      •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관리·감독 강화, GMP 인증 의무화.
      • 위해 제품 회수 및 소비자 공지 의무화.
  • 2017년
    • 품질 관리 강화: 제조업체의 품질 관리 시스템 개선, 자율적 품질 관리 교육 확대.
    • 소비자 안전성 강화: 소비자 중심의 제품 안전 검사 시스템 도입.
  • 2018년
    • 위해 식품 대응: 위해 식품 발생 시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
    • 보상 체계 마련: 건강기능식품 피해 보상 체계 강화.

6. 2019년 건강기능식품 법령 개정

  • 2019년
    • 주요 내용:
      • 소규모 생산업체를 위한 규제 완화, 온라인 유통 건강기능식품 판매 규제 신설.
      • 건강기능식품의 수출 활성화 정책 도입.
  • 2020년
    • 온라인 규제 강화: 전자상거래를 통한 건강기능식품 판매 규제 강화.
    • 소규모 업체 지원: 소규모 업체 대상 기술 지원 및 자금 지원 프로그램 확대.
  • 2021년
    • 소비자 보호 강화: 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적 장치 강화 및 정보 제공 시스템 개선.
    • 국제 협력: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국제 협력 강화, 글로벌 기준에 맞춘 제품 개발 지원.

7. 최근 동향 (2020년-2024년)

  • 2020년
    • 면역력 증진 제품 수요 증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면역력 증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 비대면 시장 확대: 전자상거래 및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인한 규제 강화.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허위·과대광고 규제를 강화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 확대.
  • 2021년
    • 세부 기능성 원료 추가: 새로운 기능성 원료에 대한 추가 연구 및 인정 절차 신설. 기존 허가된 원료 외에 다양한 식물성 원료들에 대한 인정이 늘어남.
    • 해외 직구 규제 강화: 해외 직구를 통한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입 통관 절차를 강화하고, 관련 법령 개정.
  • 2022년
    • AI와 빅데이터 활용: 건강기능식품의 연구 및 평가에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도입하여, 기능성 및 안전성 평가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였습니다.
    •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해 생체정보 기반 기술 및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 도입.
  • 2023년
    • 소규모 업체 지원 확대: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 확대. 기술 지원, 컨설팅 서비스 제공, 자금 지원 등을 통해 경쟁력 강화.
    • 소비자 교육 강화: 소비자들이 건강기능식품을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 확대 및 홍보 캠페인 강화.
  • 2024년
    • 국제 협력 및 조화: 국제 식품 규제 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기준에 맞춘 건강기능식품 관리 체계 도입.
    • 지속가능성 강조: 환경 친화적인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및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한 정책 마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