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Food Regulation Summary

이물 규정 역사 및 연혁

1. 서론

  • 이물의 정의: 이물은 식품에 들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머리카락, 금속 조각, 곤충 등의 외부 물질을 의미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법률과 규정들이 제정되었습니다.
  • 이물 규제의 중요성: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2. 1960년대 이전

  • 초기 식품 안전 규정: 한국의 식품 위생을 위한 초기 규정들은 대체로 간단했고, 관리 시스템이 미비했습니다.

3. 1962년: 식품위생법 제정

  • 식품위생법: 1962년에 제정된 식품위생법은 식품의 제조, 가공, 보관, 판매와 관련된 위생 기준을 처음으로 규정했습니다. 이물 관리에 대한 초기 기준이 이 법에 포함되었습니다.

4. 1980년대: 강화된 위생 관리

  • 1981년: 식품위생법 개정으로 이물 검사와 관련된 규정이 강화되었습니다. 제조 공정 중 이물 혼입 방지에 대한 기준이 추가되었습니다.
  • 1984년: 정기적인 식품 검사와 더불어 이물 관련 검사 기준이 강화되었습니다.

5. 2000년대: 첨단 기술 도입

  • 2003년: X-ray 검사 장비와 금속 검출기 등이 도입되면서 이물 검출 기술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2008년: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적용 의무화로 이물을 포함한 전반적인 식품 안전 관리가 더욱 엄격해졌습니다.

6. 2010년대: 위생 관리 시스템 개선

  • 2011년: 이물의 종류별 관리 기준이 더욱 세분화되었습니다.
  • 2015년: 소형 이물을 검출할 수 있는 고해상도 검사 장비 도입 및 이를 위한 법적 기준 수립.

7. 2020년대: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통합 관리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위생 관리의 중요성이 더 커지면서 추가적인 이물 검사 규정 및 절차가 마련되었습니다.
  • 2022년: 식품 안전을 위한 AI 기반 이물 검출 시스템 도입 및 관련 법규 개정.

8. 결론

  • 현재와 미래의 방향: 현재의 이물 관리 규정은 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더욱 정밀한 검출이 가능해졌습니다. 향후 더 발전할 기술과 이에 따른 법적 기준의 변화에 주목해야 합니다.
  • 소비자와 업계의 역할: 소비자와 식품 제조업체 모두가 이물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이물 관련 참고 사이트 - 식품안전정보>

https://www.foodinfo.or.kr/portal/bbs/detailBBSArticle.do#none

 

<이물 규정 사이트 -  출처 : 법제처 - 식품위생법>

https://www.law.go.kr/lsSc.do?menuId=1&subMenuId=15&query=%EC%8B%9D%ED%92%88%EC%9C%84%EC%83%9D%EB%B2%95&dt=20201211#undefined

 

반응형